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nna Lembke 애나 렘키 - 도파미네이션

by 블리샌드 2023. 6. 27.

1. 소개:

애나 렘키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 교수로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에서 각종 중독문제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치료하고 연구하였습니다. 그녀는 중독에 빠지는 이유를 도덕성의 결핍 문제가 아닌 쾌락고 고통을 지휘하는 신경물질인 도파민에서 찾았습니다. 특히나 중독성 물질과 도구가 도처에 놓은 현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가 사람들의 중독 현상을 심하게 만들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즐거운 자극에 오랫동안 반족해서 노출되면, 고통을 견딜 있는 능력은 감소합니다. 또한 쾌락을 경험하는 우리의 기준점은 점점 높아집니다. 모든 쾌락에는 대가가 따르고 거기에 따르는 고통은 원인이 쾌락보다 오래 가며 강력하다는 사실이 중독의 위험성을 알려줍니다. 그녀는 저서인 도파민네이션을 통해 뇌에서의 쾌락과 고통의 작용과 중독에 대한 이해, 중독 관리를 위한 접근법과 균현을 찾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2. 뇌신경과학:

신경과학은 1957 도파민이라는 인간 뇌의 신경전달물질을 발견함으로써 획기적인 변화와 발전적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도파민은 보상 과정에 관여하는 유일한 신경전달물질은 아니지만, 보상을 얻기 위한 과정과 동기부여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인간의 뇌는 도파민을 통해 신경전달과 화학적 반응을 하며 인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뇌는 쾌락과 고통을 같은 곳에서 처리하며, 몸의 화학적 상태가 쾌락 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이를 다시 원래 상태로 돌리는 자기 조정 매커니즘이 작동됩니다. 이러한 균형력으로 인해 쾌락을 위해서는 자극이 필요하며 임계점을 넘으면 이상 쾌락을 느끼는 못하는 고통 상태에 빠질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요인들이 중록을 유발하고 가속화 시키는 상황입니다. 현대 발전된 기술, 소셜 미디어, 소비적 문화가 도파민을 계속적으로 추구하는 습관이 들도록 하고 있습니다.특히 스마트폰에 스크린을 통한 지속적인 자극은 순간적인 만족과 즐거움의 패턴을 무한정 반복 시킴으로써 중독 상황에 빠져들게 합니다. 이러한 현대 사회와 문화가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직시하고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바꾸어 나가야 합니다.

 

3. DOPAMINE: 나와 중독을 이해하는 7단계:

Data, 가장 우선적으로 자신의 현재 상황을 한발짝 떨어져서 바라봄으로써 자신이 어떠한 것을 자주 행하며 의존하는 가를 파악하여야 합니다. Objectives, 사람들은 행동을 나름의 이유와 목적이 있으며, 어떠한 느낌을 받기 위해서 어떠한 행동들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Problems, 도파민 중독을 일으키는 행동은 언제나 문제를 일으키며, 건강, 관계 도덕적으로 어떤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합니다. Abstinence, 뇌의 보상 경로를 다시 구성하기위해서는 최소한 30일이 소요됩니다. 의지를 가지고 30 동안 중독 대상을 끊어내는 시도를 해보아야 합니다. Mindfulness, 마음챙김은 보통 명상에서 많이 언급되는 개념으로, 객관적으로 나의 생각과 감정을 바라봄으로써 의식과 감정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것입니다. Insight,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짜 나의 의식과 본질을 알아가고 진정한 목표와 의미를 재설정해야 합니다. Next Steps, 중독 대상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합니다. Experiment, 기존의 중독 대상에 대하여 실험을 하듯이 적절히 요소들을 조절하면서 생활해 나가는 것입니다.

4. 균형 찾기:

발작적 기쁨이라는 실험에서 보면, 고통자극을 반족적으로 주게되면 초기의 고통보다 짧고 약해지며 과잉 각성으로 변한 고통은 사후 반응으로 쾌락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있습니다. 쾌락 자극에 내성이 생기듯이 고통의 자극도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내성을 갖게되고 반대적 작용으로 일정의 쾌락이 나타납니다. 찬물 목욕이 도파민을 생성하여 기분을 좋게 만드는 효과는 많이 알려진 방법입니다.

운동은 어떠한 알약보다 기분, 불안, 인지, 활기, 수면에 깊고 일관성 있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에 중독을 벗어나 자기 일상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운동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추천됩니다. 운동에 의해 좋아진 상태는 약물에 의해 고양된 상태보다 오래 지속되며, 증진된 체력은 정신력의 개선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솔직함은 뇌를 치유하고 관계를 개선합니다. 근본적인 솔직함은 우선 자신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주변 환경을 신경 쓰는 얽매이지 않고 자기 자신의 본성을 알고 이에 맞춰나갈 있게 해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