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an Robertson 이안 로버트슨 - 승자의 뇌

by 블리샌드 2023. 6. 26.

1. 소개:

세계적인 뇌과학자인 이안 로버트슨은 40 년에 걸쳐 마음과 뇌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였으며 뇌과학 분야에 여러 성과를 냈습니다. 다양한 전신적 질환을 치료하고 이를 통해 뇌를 연구함으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스트레스의 작용에 따라 도움이 되는 경우와 해악이 되는 에너지의 이중성에 대해 밝혀내었습니다. 이러한 뇌과학 연구를 통해 이런 에너지를 어떻게 올바르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해줍니다. 그의 저서로는 “The Mind’s Eye”, “Stay sharp”, “The Stress Test: How Pressure Can Make You Stronger and Sharper” 등이 있으며, “The Winner Effect” 통해 승자의 뇌와 어떻게 뇌를 활용하여 승리를 되풀이할 있을지에 대해 지혜를 제공합니다.

2. 성공의 뇌신경과학:

작은 성공을 거두어본 사람일수록 성공을 거둘 가능성이 높으며, 많이 이겨본 사람이 이기며 성공도 성공을 해본 사람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그의 연구의 시작점은 승리하는 사람이 다른 일도 계속 승리하게 되는 이유와 승리하는 사람의 뇌는 어떻게 다르며, 이러한 뇌는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인가 경험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것인가 입니다. “The Winner Effect” 승자의 뇌와 이기는 사람과 지는 사람의 생각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설명을 해줍니다. 설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뇌는 승리의 쾌감을 기억한다는 것입니다.  두뇌의 신경화학적 경로를 통해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 것임을 알아감에 따라 성공이 성공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현상인 승자 효과와 매커니즘을 알수 있습니다.

테스토스테론이 뇌를 바꾸는 것은 이것이 뇌의 화학적 상태를 바꾸기 때문입니다. 특히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수치를 높여주며, 도파민은 두뇌의 매커니즘을 설명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도파민이 분비됨으로써 기분이 좋아지는 생각이나 행동 패턴을 계속하게끔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승리의 테스토스테론 그리고 행동 지향적인 접근을 무의식적으로 활용할 있는 체계를 강화 있습니다.

 

3. 사고방식의 :

그는 환경이 조금 달라지거나 자세를 바꾸는 작은 변화에서도 신체와 뇌는 크게 변화할 있음을 알려줍니다. 경기에서 쉬운 상대였다 할지라도 몇번은 경기에서 연속해서 승리한 경우, 다름 싸움의 상대가 자신보다 실력이 우세하더라도 상대를 이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뇌의 작용을 기반으로, 승자처럼 행동하고 승리를 당연하게 생각한다면, 결과적으로 본인이 믿는만큼 해낼 있습니다. 자신이 느끼고자 하는 것을 느끼는 것처럼 행동하면 뇌는 실제 상황인지 아닌지와 상관없이 작용하고 그러한 실제 결과가 따라옵니다. 이렇게 되면 선순환의 고리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계속적인 성공이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는 유명한 운동선수, 성공한 기업가들의 사례를 통해, 성장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어떻게 개인들로 하여금 그들의 한계를 뛰어넘고 새로운 성취에 도달하는 보여줍니다. 우리의 능력을 형성하는 있어 회복력, 결단력, 그리고 낙관주의는 매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좌절을 극복하고, 실패에서 회복하고 지혜를 얻어 성공을 향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4. 성공에 따른 부작용

그는 성취에 대한 논의에서 종종 간과되는 성취 발생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탐구합니다. 지속된 성공과 성취 후에는 여러 형태의 권력이 뒤따르며, 이러한 권력은 권력을 가진 사람의 뇌의 화학적인 상태를 바꾸게 됩니다. 오만함, 안일함, 비윤리적인 행동, 목적 최우선적인 사고 같은 성공의 부작용들이 따르는 것입니다. 권력에 도취되는 것은 뇌의 화학적 중독을 일으키고, 계속적인 화학작용을 유지하기 위해 자극과 상황을 계속해서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다른 사람과 전혀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권력을 휘두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을 이룬 사람들은 반드시 위험성을 인지하고 계속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항상 자신의 권력에 조절기와 확인장치를 두어 스스로 감정적 중독에 빠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고 자신의 성취 욕구과 권력을 보다 발전된 가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반응형